본문 바로가기
[IT 관련 지식]/[Window]

윈도우 11 가상 RAM 최적화 도우미

by 판톰 2025. 8. 2.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Windows 11, 4GB RAM으로도 쾌적하게

물리적 RAM 확장이 어려우신가요? 가상 메모리 최적화를 통해 시스템 성능을 눈에 띄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PC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드릴 것입니다.

혹시 이런 문제를 겪고 계신가요?

아래 증상들을 클릭하여 내 PC의 상태를 진단해보세요.

🐢 시스템 속도 저하

💥 잦은 앱 충돌

💾 "메모리 부족" 오류

가상 메모리의 핵심 원리

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RAM이 부족할 때 하드 드라이브(SSD/HDD)의 일부 공간을 RAM처럼 사용하는 기술입니다. 윈도우는 `pagefile.sys`라는 숨겨진 파일을 만들어, 당장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RAM에서 이곳으로 잠시 옮겨 둡니다(페이지 아웃). 이를 통해 실제 RAM에는 더 중요하고 긴급한 작업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됩니다.

이 기술 덕분에 실제 RAM 용량보다 더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지만, 하드 드라이브는 RAM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이 과정(스와핑)이 너무 잦아지면 오히려 시스템이 버벅거릴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가상 메모리 크기와 위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물리 RAM
(빠름, 제한된 공간)
데이터 스와핑 (페이지 인/아웃)
가상 메모리 (Pagefile.sys)
(느림, 넓은 공간 on SSD/HDD)

가상 메모리 설정 가이드 (4GB RAM 기준)

1단계: 시스템 속성 실행

키보드에서

Win

+

R

키를 눌러 '실행' 창을 열고, sysdm.cpl 을 입력 후 확인을 누르세요.

2단계: 성능 설정 접근

시스템 속성 창에서 [고급] 탭 → '성능' 섹션의 [설정] 버튼을 클릭하세요. 그리고 '성능 옵션' 창에서 다시 [고급] 탭을 선택하세요.

3단계: 가상 메모리 변경

'가상 메모리' 섹션에서 [변경] 버튼을 클릭하세요.

4단계: 자동 관리 해제 및 크기 설정

"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" 체크를 해제하세요. 그 다음, 가상 메모리를 설정할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'사용자 지정 크기'를 선택합니다.

4GB RAM 시스템 권장 크기:

  • 처음 크기(MB): 4096
  • 최대 크기(MB): 8192

처음 크기와 최대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면 페이징 파일의 크기 변경으로 인한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5단계: 설정 및 재부팅

[설정] 버튼을 누르고, 모든 창에서 [확인]을 눌러 닫습니다. 마지막으로 PC를 다시 시작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재부팅하여 변경 내용을 적용합니다.

성능 vs 수명: 어디에 설치할까?

가상 메모리 파일의 위치는 성능과 저장 장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. 자신의 우선순위에 맞는 전략을 선택하세요.

🚀 최대 성능 추구 (SSD)

🛡️ SSD 수명 연장 (HDD)

 

추가 성능 최적화 팁

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 비활성화

+

작업 관리자(`Ctrl+Shift+Esc`)의 '시작 앱' 탭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을 '사용 안 함'으로 설정하여 부팅 속도를 높이고 초기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세요.

시각 효과 조정

+

'시스템 속성' → '성능 설정'의 '시각 효과' 탭에서 '최적 성능으로 조정'을 선택하여 시스템 자원을 아끼세요. 애니메이션과 그림자 효과를 줄이면 시스템이 더 빠릿하게 느껴집니다.

SysMain 서비스 비활성화

+

실행 창(`Win+R`)에 `services.msc`를 입력하고, 서비스 목록에서 'SysMain'을 찾아 '사용 안 함'으로 설정하세요. 이 서비스는 자주 쓰는 앱을 미리 로드하지만 저사양 시스템에서는 오히려 메모리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.

디스크 공간 관리

+

가상 메모리는 디스크 공간을 사용하므로 C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'저장 공간 센스'를 켜거나 불필요한 파일을 주기적으로 정리하세요. HDD를 사용한다면 '드라이브 조각 모음 및 최적화'를 실행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

 
반응형

'[IT 관련 지식] > [Window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cAfee 제거방법  (0) 2017.07.20
윈도우 종료 명령어 [shutdown 옵션]  (0) 2016.03.01
MS 윈도우 히스토리  (0) 2014.04.20
윈도우 방화벽 ICMP 설정방법  (0) 2013.05.20
FAT32 와 NTFS  (0) 2012.03.27